목차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블록체인과 만나면서 엄청난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가 바로 오픈레저(OpenLedger, OPEN)입니다. 오픈레저는 데이터, 모델, 애플리케이션 등 AI 생태계 전반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기여에 대한 투명한 보상을 목표로 하는 혁신적인 AI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단순한 기술의 결합을 넘어, 데이터 생성부터 AI 모델 활용까지 전 과정에 걸쳐 투명성과 공정한 가치 분배를 실현하려는 담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죠.

특히, 스탠포드 대학의 10년이 넘는 연구를 기반으로 탄생했다는 점과 월마트, 소니 등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은 오픈레저의 기술력과 미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과연 오픈레저는 AI 시대의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을까요? 오늘 이 글에서는 오픈레저의 핵심 기술부터 토큰 이코노미, 그리고 미래 전망까지 심도 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 오픈레저란 무엇인가? AI와 블록체인의 운명적 만남
오픈레저(OpenLedger)는 데이터, 모델,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 전반에 걸쳐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AI 블록체인입니다. 기존 AI 개발 환경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투명성, 기여도 측정, 검증 가능성의 한계를 블록체인 기술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핵심은 바로 ‘기여 증명(Proof of Attribution)’이라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특정 AI 모델이 결과물을 도출할 때 어떤 데이터가 영향을 미쳤는지 식별하고, 해당 데이터에 기여한 사람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획기적인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제공한 데이터가 특정 AI 모델의 성능 향상에 기여했다면, 그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OPEN 토큰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이러한 시스템은 개발자들이 커뮤니티로부터 특화된 데이터를 수집하고(Datanets), 코딩 없이도 AI 모델을 구축(Model Factory)하여 온체인에 직접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모든 과정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므로 AI 개발의 전 과정에 대한 완전한 추적과 투명성 확보가 가능해집니다.

💡 오픈레저의 핵심 기술 및 특징
기여 증명 (Proof of Attribution, PoA)
오픈레저의 가장 큰 차별점은 바로 기여 증명(PoA)입니다. PoA는 모델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데이터를 식별하고, 데이터 기여자에게 OPEN 토큰으로 보상을 분배하는 온체인 시스템입니다. 이는 데이터 기여자들에게 강력한 동기를 부여하고, 고품질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듭니다. 또한, AI 모델의 결과가 어떤 데이터에 기반했는지 알 수 있어 ‘설명 가능한 AI(Explainable AI)’를 구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노코드 AI 인프라
오픈레저는 기술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AI 모델을 만들고 활용할 수 있도록 노코드(No-code) 도구를 제공합니다.
- 모델 팩토리 (Model Factory) & OpenLoRA: 모델 학습, 미세 조정, 호스팅을 위한 엔드투엔드 인프라를 제공하며, LoRA 어댑터를 온체인에서 검증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 비용을 90%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넷 (Datanets): 커뮤니티가 주도하여 원시 데이터를 LLM(거대 언어 모델)에 적합한 데이터셋으로 변환하고 수집하는 플랫폼입니다.
- AI 스튜디오 (AI Studio): 온체인 레지스트리를 사용하여 AI 에이전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배포하며 수익화할 수 있는 개발 환경입니다.
기술적 구성
- 블록체인 레이어: 이더리움 L2(레이어 2) 솔루션인 OP 스택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AI 트랜잭션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온체인 레지스트리: 모델, 어댑터, 데이터셋, 에이전트 등을 불변의 원장에 기록하여 투명성을 보장합니다.
- 보안 모델: 옵티미스틱 롤업 아키텍처를 통해 이더리움 메인넷의 강력한 보안을 그대로 상속받습니다.

💰 OPEN 토큰의 역할과 경제 모델
OPEN 토큰은 오픈레저 생태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네이티브 가스 토큰입니다.
- 기여 증명 보상: 데이터 기여자의 데이터가 모델 추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면 OPEN 토큰이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 결제 및 정산: 추론 수수료, 모델 접근, 스테이킹, 데이터넷 사용 등 오픈레저 AI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모든 거래에 사용됩니다.
- 거버넌스: OPEN 토큰 보유자는 프로토콜의 주요 파라미터 변경, 업그레이드, 소유권 이전 등 네트워크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생태계 인센티브: 생태계 내에서 모델, 데이터넷, 에이전트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인센티브로 할당됩니다.
2025년 9월 9일 기준으로 OPEN 토큰의 총 공급량은 1,000,000,000개이며, 바이낸스 상장 시 초기 유통량은 총 공급량의 약 21.55%인 215,500,000개가 될 예정입니다.

🚀 로드맵과 미래 전망
오픈레저는 2024년 4분기 데브넷 런칭을 시작으로 2025년에는 여러 버전의 테스트넷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왔습니다.
향후 주요 로드맵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3분기:
- 메인넷 런칭: 완전한 탈중앙화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OPEN 토큰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를 시작합니다.
- 토큰 생성 이벤트 (TGE): 메인넷 런칭과 함께 OPEN 토큰을 공식적으로 발행합니다.
- 생태계 프로젝트 런칭: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들이 메인넷 위에서 실제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엔터프라이즈 도입: 월마트를 시작으로 설명 가능한 AI 모델을 소매 유통 사례에 적용합니다.
- 2025년 4분기:
- 엔터프라이즈 도입 확장: 소니(Sony), LA 타임즈(LA Times) 등 더 많은 기업들이 오픈레저 인프라를 활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기여 증명(PoA) 완전 출시: 데이터, 모델, 컴퓨팅 전반에 걸쳐 기여도를 투명하게 추적하고 공정한 가치 분배를 실현합니다.
이미 Blockchain at Berkeley, Trust Wallet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200개 이상의 데이터 기업과 협력하여 데이터넷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력한 파트너십과 명확한 로드맵은 오픈레저의 미래를 더욱 기대하게 만듭니다.

📈 결론 및 투자 시 고려사항
오픈레저는 AI와 블록체인의 결합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미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프로젝트입니다. 기여 증명(PoA)이라는 독창적인 모델을 통해 데이터 기여자와 모델 개발자 모두에게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고,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비전은 매우 강력합니다.
물론, 모든 암호화폐 투자가 그렇듯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초기 유통량, 토큰 분배 구조, 시장 상황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스탠포드 연구 기반의 탄탄한 기술력, 월마트와 같은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 그리고 명확한 로드맵을 고려할 때, 오픈레저는 AI 블록체인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 프로젝트임이 분명합니다.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가치가 더욱 빛날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를 꾸준히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